키릴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릴 문자는 초기 키릴 문자를 조상으로 하며,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제1 불가리아 제국 시대에 개발되었다. 슬라브어 표기를 위해 고안되었으며, 그리스 문자를 차용하여 개량되었다. 현재 동유럽, 북아시아 등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며, 슬라브어족 언어 외에도 러시아의 비슬라브어족 언어, 몽골어 등 여러 언어의 표준 문자로 사용된다. 키릴 문자는 각 언어의 음성을 표기하기 위해 다양한 특수 문자를 포함하며, 유니코드에 의해 지원된다. 현대 키릴 문자는 라틴 문자와 유사한 글꼴을 가지며, 활자체와 필기체,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하여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아시아 -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공화국은 중앙아시아 내륙국으로 톈산 산맥 중심의 산악 지형이 대부분이며 여러 국가와 국경을 접하고 키르기스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유목민 전통의 문화를 지녔으나, 소련 붕괴 후 독립했음에도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적 어려움, 국경 분쟁, 권위주의적 성향 강화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중앙아시아 - 시베리아
우랄 산맥 동쪽에 위치한 시베리아는 러시아 영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양한 유목 민족의 터전이었으나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어 자원 개발이 이루어졌고, 현재는 러시아 연방의 일부로서 경제 성장과 함께 환경 문제, 민족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는 지역이다. - 키릴 문자{{#if:{{{2 - 교회 슬라브어
교회 슬라브어는 키릴과 메토디우스 형제가 구교회 슬라브어를 바탕으로 성경과 전례서를 번역하면서 시작되어 동슬라브 지역으로 전파, 다양한 판본으로 발전하여 정교회 지역의 예배 및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으나 현대에는 현대 슬라브어 등으로 대체되고 일부 지역에서만 예배 언어로 사용되며 현대 슬라브어, 특히 러시아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키릴 문자{{#if:{{{2 - 슬라브어파
슬라브어파는 인도유럽어족의 어파로서, 지리적으로 동/서/남슬라브어군으로 나뉘거나 언어적 유사성에 따라 북/남슬라브어군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문자 사용과 상호 이해도에서 차이를 보이고 고대 교회 슬라브어와 인터슬라브어가 존재한다.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루마니아어의 초기 표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 함께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 사용되었고, 1830년대 라틴 문자 채택 이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혼용되었다.
키릴 문자 | |
---|---|
명칭 | |
이름 | 키릴 문자 |
다른 이름 | 키릴리차 키릴 문자 (키릴) |
로마자 표기 | Kiril munja |
언어별 표기 | : 키릴리차 : 키릴리차, IPA: /'kirilit͡sɐ/ : 키릴리차, IPA: /[ki'rilit͡sa]/ : 키릴리차, IPA: /kʲɪ'rʲilʲɪtsə/ : 키릴리차, IPA: /[t͡ɕi'rilit͡sa]/ : 키릴리차, IPA: /ke'rɪɫet͡sʲɐ/ |
개요 | |
문자 체계 | 알파벳 |
사용 시기 | 초기 형태는 893년경 ~ 940년경 |
사용 언어 |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 참고 |
공식 문자 | 벨라루스 불가리아 키르기스스탄 북마케도니아 러시아 세르비아 우크라이나 타지키스탄 |
공동 공식 문자 | 압하지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코소보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몽골 몬테네그로 |
국제기구 공식 문자 | 독립국가연합 유라시아 경제 연합 유럽연합 상하이 협력 기구 국제 연합 |
기원 | |
계통 | 이집트 상형문자 원시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그리스 문자 글라골 문자 초기 키릴 문자 |
자매 문자 | 아르메니아 문자 콥트 문자 라틴 문자 |
파생 문자 | 고대 페름 문자 |
유니코드 | |
유니코드 범위 | U+0400–U+04FF 키릴 문자 U+0500–U+052F 키릴 문자 보충 U+2DE0–U+2DFF 키릴 문자 확장-A U+A640–U+A69F 키릴 문자 확장-B U+1C80–U+1C8F 키릴 문자 확장-C U+1E030–U+1E08F 키릴 문자 확장-D |
ISO 15924 | Cyrl |
ISO 15924 노트 | Cyrs (고대 교회 슬라브어 변형) |
예시 | |
![]() |
2. 역사
키릴 문자는 초기 키릴 문자에서 발전했으며, 초기 키릴 문자는 글라골 문자에서 유래했다. 글라골 문자는 동방 정교회 선교사 키릴로스와 성 메토디오스 형제가 슬라브인에게 포교하기 위해 그리스 문자를 바탕으로 고안했다고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이 이론이 부정되고 있다. 키릴 문자는 글라골 문자보다 간단하고 사용하기 쉬웠으며 그리스 문자와 가까워 빠르게 대체되었다. 이후 슬라브인 세계에 퍼지면서 지역 언어에 맞게 변형되었고, 이는 현재의 많은 키릴 문자 변종의 근원이 되었다.
초기 키릴 문자는 컴퓨터로 나타내기 어려우며, 많은 글꼴이 현대 키릴 문자와 다르고 글자 자체도 바뀌어 왔다. 현재의 유니코드 표준에도 많은 글자가 빠져 있다.
키릴 문자는 슬라브 민족뿐만 아니라 비슬라브인인 루마니아인들에게도 퍼져나갔다. 가장 오래된 키릴 문자 비문은 현재 불가리아 슈멘 주(Shumen Province)에 있는 중세 도시 프레스라브(Preslav) 지역과 인근 파틀레이나 수도원(Patleina Monastery), 라브나 수도원(Ravna Monastery), 바르나 수도원(Varna Monastery)에서 발견되었다. 새로운 문자는 슬라브어와 비슬라브어(1860년대까지 루마니아어와 같이)를 포함하여 동방 정교회가 지배하는 동유럽의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는 알파벳의 기초가 되었다. 수세기 동안 키릴 문자는 가톨릭과 무슬림 슬라브인들에 의해서도 사용되었다.
키릴 문자와 글라골 문자는 특히 고대 교회 슬라브어 변형인 교회 슬라브어에 사용되었다. "И는 열 번째 키릴 문자이다"와 같은 표현은 일반적으로 교회 슬라브어 알파벳의 순서를 나타낸다.
고대 교회 슬라브어로 쓰인 문학은 불가리아에서 북쪽으로 퍼져나가 발칸 반도와 동유럽의 공용어가 되었다.[18][19][20][21][22]
18세기 초, 러시아 제국의 표트르 대제는 서유럽식 글꼴을 도입하는 문자 개혁을 실시했다. '민간 문자'(Civil script)라고 불리는 새로운 문자 형태는 라틴 문자에 더 가까워졌고, 여러 고대 문자가 폐지되었으며 표트르 대제 자신이 디자인한 여러 새로운 문자가 도입되었다. 문자는 대문자와 소문자로 구분되었으며, 서유럽 인쇄술 문화도 채택되었다.[27] 개혁 이전의 문자 형태인 'Полуустав'는 교회 슬라브어에서 보존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슬라브어' 또는 '고대' 느낌을 주고 싶을 때 러시아어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동방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 의식에서 현대 교회 슬라브어에 사용되는 알파벳은 여전히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다. 그러나 이후 키릴 문자는 구어의 변화에 적응하고, 국가 언어의 특징에 맞게 지역적 변형을 발전시켰으며, 학문적 개혁과 정치적 법령의 영향을 받았다.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는 세르비아 키릴 문자를 개혁하면서 더 이상 구어에 나타나지 않는 글자들을 제거하고 세르비아어에 특정한 글자(Љ Њ Ђ Ћ Џ Ј)를 도입하여 이전의 교회 슬라브어 알파벳과 거리를 두었다. 오늘날 발칸 반도, 동유럽, 북아시아의 많은 언어가 키릴 문자 알파벳으로 쓰여진다.
2. 1. 초기 키릴 문자의 탄생과 발전
초기 키릴 문자는 현재 키릴 문자의 직접적인 조상이며, 글라골 문자에서 갈라져 나왔다. 전통적으로 글라골 문자는 동방 정교회의 선교사인 키릴로스와 그의 형 성 메토디오스(메토디오)가 슬라브족에게 포교하기 위해 그리스 문자를 바탕으로 고안했다고 여겨졌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이 이론이 부정되고 있다. 키릴로스가 키릴 문자를 직접 만들지는 않았을 것이지만, 글라골 문자에 기여한 바가 있어 그의 이름이 붙여졌을 것으로 추정된다.[10][11]글라골 문자에 비해 키릴 문자는 간결하고 사용하기 쉬웠으며, 그리스 문자와 유사하여 빠르게 확산되었다. 키릴 문자는 슬라브 세계에 퍼지면서 각 지역 언어에 맞게 변형되었고, 이는 현재 다양한 키릴 문자 변종들의 기원이 되었다.



9세기 말,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프레슬라프 문학파(Preslav Literary School)에서 키릴 문자가 개발되었다는 학설이 유력하다.[13] 이 학교는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중요한 초기 문학 및 문화 중심지였으며, 나움 프레스라브스키(Naum of Preslav), 콘스탄틴 프레스라브스키(Constantine of Preslav), 요안 엑자르흐(John the Exarch) 등 저명한 불가리아 작가와 학자들이 활동했다. 키릴 문자는 그리스 알파벳의 그리스 유니셜 문자(Greek uncial script)에서 유래되었으며, 그리스어에 없는 소리를 위해 글라골 문자의 리가추어(Typographic ligature)와 자음이 추가되었다.[14][15][16][17]
키릴 문자의 사용이 시작된 시기는 명확하지 않지만, 시메온 1세 통치 시대(893년 - 927년)로 여겨진다.[53] 초기에는 키릴 문자와 글라골 문자가 불가리아 내에서 공존했으며, 수도 프레스라프를 중심으로 북동부에서는 키릴 문자를, 옛 수도 오흐리드를 중심으로 서부에서는 글라골 문자를 사용했다.[56]
2. 2. 중세 시대의 키릴 문자
키릴 문자는 초기 키릴 문자에서 갈라져 나왔으며, 이 문자는 다시 글라골 문자에서 발전했다. 글라골 문자는 동방 정교회 선교사인 키릴로스와 성 메토디오스 형제가 슬라브인에게 포교하기 위해 그리스 문자를 바탕으로 고안했다고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이 이론이 부정되고 있다. 키릴 문자는 글라골 문자보다 간단하고 사용하기 쉬웠으며 그리스 문자와 가까워 빠르게 대체되었다.키릴 문자는 제1 불가리아 제국 시대에 만들어졌다.[13] 현대 학자들은 초기 키릴 문자가 제1 불가리아 제국의 프레스라브 문학교(Preslav Literary School)에서 만들어졌다고 보고있다. 이 학교는 슬라브족의 중심지였으며, 나움 프레스라브스키(Naum of Preslav), 콘스탄틴 프레스라브스키(Constantine of Preslav), 요안 엑자르흐(John the Exarch) 등 많은 불가리아 작가와 학자들이 활동했다. 키릴 문자는 그리스 알파벳의 그리스 유니셜 문자에서 유래되었으며, 그리스어에 없는 소리를 위해 글라골 문자의 리가추어와 자음이 추가되었다. 글라골 문자와 키릴 문자는 키릴과 메토디우스 성인과 그들의 불가리아 제자들에 의해 공식화되었다.[14][15][16][17]
키릴 문자는 12세기에 글라골 문자를 압도하게 되었다. 고대 교회 슬라브어로 쓰인 문학은 불가리아에서 북쪽으로 퍼져나가 발칸 반도와 동유럽의 공용어가 되었다.[18][19][20][21][22] 현대 보스니아의 키릴 문자는 중세 보스니아에서 유래한 키릴 문자의 멸종되고 논란이 되는 변형이다.[23][24] 가장 초기의 문자 특징은 10세기 또는 11세기 사이에 나타났을 가능성이 높으며, 후마크 비석(Humac tablet)이 이러한 유형의 문자를 사용하는 최초의 문서이며 이 시대의 것으로 여겨진다.[25]
14세기와 15세기 에브티미우스 타르노프스키 성인과 타르노보 문학교(Tarnovo Literary School)의 다른 대표자들의 철자 개혁으로 이 학교는 러시아, 세르비아, 발라키아, 몰다비아 중세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2. 3. 근대 이후의 키릴 문자
18세기 초, 러시아의 표트르 대제는 서유럽식 글꼴을 도입하는 문자 개혁을 실시했다.[58] 이 개혁으로 몇몇 문자가 폐지되고, 자체는 라틴 문자에 가깝게 변화했다.[58] 1917년 혁명 이후 러시아 임시 정부는 기존 문자 체계에서 4개의 문자를 제거한 현재 러시아 문자 체계를 시행했다.[59]19세기 중반, 세르비아에서는 부크 카라지치가 언어와 문자의 일치를 목표로 하는 개혁을 실시했다.[60] 이 개혁으로 불필요한 문자가 제거되고 라틴 문자의 J가 도입되는 등 변화가 이루어져 세르비아어 키릴 알파벳이 확립되었다.[60]
1945년에는 불가리아에서도 문자 개혁이 실시되었다.[60]
현대에도 키릴 문자는 발칸 반도, 동유럽, 북아시아의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고 있다.
3.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
키릴 문자는 주로 슬라브어파 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동슬라브어군의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와 남슬라브어군의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세르비아어[61], 몬테네그로어[61]가 대표적이다. 슬라브어족 외에도 몽골어(몽골어족에 속함)[66], 조지아의 남오세티야 자치주에서 쓰이는 오세티아어(이란어파에 속함)도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는 소련 내에서 문자가 없었던 시베리아 등의 언어나 아랍 문자를 사용하던 중앙아시아 등의 언어에 키릴 문자 표기법이 제정되었다.[65] 소련 붕괴 이후 독립한 국가 중 카자흐어, 키르기스어, 타지크어 등이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현재 러시아 영토인 지역에서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
언어 종류 | 언어 |
---|---|
슬라브어족 |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우크라이나어 |
비슬라브어족 | 알타이어, 윌타어, 에벤키어, 오세트어, 칼미크어, 크림 타타르어, 야쿠트어, 쇼르어, 타타르어, 추바시어, 추크치어, 투바어, 둥간어, 나나이어, 니브흐어, 하카스어, 부랴트어 |
3. 1. 키릴 문자와 다른 문자의 관계
세르비아어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를 모두 사용한다. 세르비아 헌법에 따르면 세르비아 행정부의 공식 문자는 키릴 문자이지만,[45] 실제로는 라틴 문자도 널리 쓰인다.[46]유럽의 여러 언어는 역사적으로 키릴 문자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거나 병용하는 경우가 있다. 아제르바이잔어, 우즈베크어, 루마니아어가 그 예이다.[63]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몰도바(트란스니스트리아 제외), 투르크메니스탄, 아제르바이잔 등은 라틴 문자로 전환했다. 우즈베키스탄은 두 문자를 모두 사용하며, 카자흐스탄은 2025년까지 라틴 문자로 전환할 계획이다.[72]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는 소련 내 여러 언어에 키릴 문자 표기법이 도입되었다.[65] 소련 붕괴 이후, 일부 국가는 라틴 문자로 전환하거나, 몽골처럼 몽골 문자 부활을 시도하기도 했다.[74]
발칸반도의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는 지역에 따라 라틴 문자와 키릴 문자를 다르게 사용했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절에는 두 문자가 병립했지만, 유고슬라비아 붕괴 이후 각 언어별로 문자 사용 경향이 달라졌다.[76]
4. 글자와 소릿값
키릴 문자는 표음 문자이지만 예외도 있다. 예를 들어 러시아어 "его"는 /jeɡo/가 아닌 /jevo/로 소리 난다.[28]
키릴 문자는 동슬라브어와 일부 남슬라브어 지역에 퍼져 고대 동슬라브어 등 현지 언어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다. 각 지역 언어에 맞춰 다양한 키릴 문자 알파벳이 만들어졌다.
옛 필사본에서는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았다.
Ы(Ы)는 원래 Ъ와 І의 합자(Ъ + І = Ы)였다. 요타화는 І를 사용한 합자(Ꙗ, Ѥ, Ю, Ѩ, Ѭ)로 표시되었다. 때때로 И = І = Ї, О = Ѻ와 같이 서로 다른 문자를 바꿔 쓰기도 했고, ѠТ = Ѿ와 같은 합자도 사용되었다.
초기 키릴 문자는 그리스 문자 체계에 기반한 숫자 값을 가지고 있었다.
키릴 문자는 언어별로 사용하는 문자와 그 수가 다르다. 러시아어는 33자, 세르비아어는 30자이다. 세르비아어와 마케도니아어에는 라틴 문자 J에 해당하는 문자가 있다.[77] 키릴 문자 발명 당시에는 45자였을 것으로 추정되며,[53] 이후 불필요한 문자가 폐기되어 현재의 자수로 자리 잡았다. 키릴 문자를 숫자로 사용하는 키릴 숫자라는 기수법도 있었다.
4. 1. 공통 글자
다음은 근대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거의 대부분의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글자들이다.활자체 | 필기체 (러시아어) | 러시아어 이름 (BGN/PCGN) | 전형적인 음가(IPA) |
---|---|---|---|
А а | А а | A|아ru | |
Б б | Б б | Be|베ru | |
В в | В в | Ve|베ru | |
Г г | Г г | Ge|게ru | |
Д д | Д д | De|데ru | |
Е е | Е е | Ye|예ru | |
Ж ж | Ж ж | Zhe|제ru | |
З з | З з | Ze|제ru | |
И и | И и | I|이ru | |
Й й | Й й | 짧은 I|이ru | |
К к | К к | Ka|카ru | |
Л л | Л л | El|엘ru | |
М м | М м | Em|엠ru | |
Н н | Н н | En|엔ru | |
О о | О о | O|오ru | |
П п | П п | Pe|페ru | |
Р р | Р р | Er|에르ru | |
С с | С с | Es|에스ru | |
Т т | Т т | Te|테ru | |
У у | У у | U|우ru | |
Ф ф | Ф ф | Ef|에프ru | |
Х х | Х х | Kha|하ru | |
Ц ц | Ц ц | Tse|체ru | |
Ч ч | Ч ч | Che|체ru | |
Ш ш | Ш ш | Sha|샤ru | |
Щ щ | Щ щ | Shcha|샤ru | |
Ь ь | Ь ь | 연음(軟音) 부호 | |
Э э | Э э | E|에ru | |
Ю ю | Ю ю | Yu|유ru | |
Я я | Я я | Ya|야ru |
연음 기호 ''ьru''는 소리가 없지만 다음 글자의 소리를 변환시킨다.
4. 2. 언어별 특수 글자
키릴 문자는 각 언어마다 고유한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추가 글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어에는 Є, 세르비아어에는 Ђ, 카자흐어에는 Ә와 같은 글자가 있다.초기 문자 | ||||||||||||||||||||||||||||||||||||||||||||||||||||||||||||||||||||||||
---|---|---|---|---|---|---|---|---|---|---|---|---|---|---|---|---|---|---|---|---|---|---|---|---|---|---|---|---|---|---|---|---|---|---|---|---|---|---|---|---|---|---|---|---|---|---|---|---|---|---|---|---|---|---|---|---|---|---|---|---|---|---|---|---|---|---|---|---|---|---|---|---|
교회 슬라브어 | А | Б | В | Г | Д | (Ѕ) | Е | Ж | Ѕ/З | И | І | К | Л | М | Н | О | П | Р | С | Т | Оу | (Ѡ) | Ф | Х | Ц | Ч | Ш | Щ | Ъ | Ы | Ѣ | Ь | Ю | Ꙗ | Ѥ | Ѧ | Ѩ | Ѫ | Ѭ | Ѯ | Ѱ | Ѳ | Ѵ | Ҁ | ||||||||||||||||||||||||||||
가장 흔하게 공유되는 문자 | ||||||||||||||||||||||||||||||||||||||||||||||||||||||||||||||||||||||||
공통 | А | Б | В | Г | Д | Е | Ж | З | И | Й | К | Л | М | Н | О | П | Р | С | Т | У | Ф | Х | Ц | Ч | Ш | Щ | Ь | Ю | Я | |||||||||||||||||||||||||||||||||||||||||||
남슬라브어 | ||||||||||||||||||||||||||||||||||||||||||||||||||||||||||||||||||||||||
불가리아어 | А | Б | В | Г | Д | Е | Ж | З | И | Й | К | Л | М | Н | О | П | Р | С | Т | У | Ф | Х | Ц | Ч | Ш | Щ | Ъ | Ь | Ю | Я | ||||||||||||||||||||||||||||||||||||||||||
마케도니아어 | А | Б | В | Г | Д | Ѓ | Ѕ | Е | Ж | З | И | Ј | К | Л | Љ | М | Н | Њ | О | П | Р | С | Т | Ќ | У | Ф | Х | Ц | Ч | Џ | Ш | |||||||||||||||||||||||||||||||||||||||||
세르비아어 | А | Б | В | Г | Д | Ђ | Е | Ж | З | И | Ј | К | Л | Љ | М | Н | Њ | О | П | Р | С | Т | Ћ | У | Ф | Х | Ц | Ч | Џ | Ш | ||||||||||||||||||||||||||||||||||||||||||
몬테네그로어 | А | Б | В | Г | Д | Ђ | Е | Ж | З | З́ | И | Ј | К | Л | Љ | М | Н | Њ | О | П | Р | С | С́ | Т | Ћ | У | Ф | Х | Ц | Ч | Џ | Ш | ||||||||||||||||||||||||||||||||||||||||
동슬라브어 | ||||||||||||||||||||||||||||||||||||||||||||||||||||||||||||||||||||||||
러시아어 | А | Б | В | Г | Д | Е | Ё | Ж | З | И | Й | К | Л | М | Н | О | П | Р | С | Т | У | Ф | Х | Ц | Ч | Ш | Щ | Ъ | Ы | Ь | Э | Ю | Я | |||||||||||||||||||||||||||||||||||||||
벨라루스어 | А | Б | В | Г | Ґ | Д | Дж | Дз | Е | Ё | Ж | З | І | Й | К | Л | М | Н | О | П | Р | С | Т | У | Ў | Ф | Х | Ц | Ч | Ш | ’ | Ы | Ь | Э | Ю | Я | ||||||||||||||||||||||||||||||||||||
우크라이나어 | А | Б | В | Г | Ґ | Д | Е | Є | Йо | Ж | З | И | І | Ї | Й | К | Л | М | Н | О | П | Р | С | Т | У | Ф | Х | Ц | Ч | Ш | Щ | ’ | Ь | Ю | Я | |||||||||||||||||||||||||||||||||||||
루신어 | А | Б | В | Г | Ґ | Д | Е | Є | Ё | Ж | З | И | І | Ї | Й | К | Л | М | Н | О | П | Р | С | Т | У | Ф | Х | Ц | Ч | Ш | Щ | Ъ | Ы | Ѣ | Ь | Ю | Я | |||||||||||||||||||||||||||||||||||
이란어군 | ||||||||||||||||||||||||||||||||||||||||||||||||||||||||||||||||||||||||
쿠르드어 | А | Б | В | Г | Г' | Д | Е | Ә | Ә' | Ж | З | И | Й | К | К' | Л | М | Н | О | Ö | П | П' | Р | Р' | С | Т | Т' | У | Ф | Х | Һ | Һ' | Ч | Ч' | Ш | Щ | Ь | Э | Ԛ | Ԝ | ||||||||||||||||||||||||||||||||
오세트어 | А | Ӕ | Б | В | Г | Д | Е | Ё | Ж | З | И | Й | К | Л | М | Н | О | П | Р | С | Т | У | Ф | Х | Ц | Ч | Ш | Щ | Ъ | Ы | Ь | Э | Ю | Я | ||||||||||||||||||||||||||||||||||||||
타지크어 | А | Б | В | Г | Ғ | Д | Е | Ё | Ж | З | И | Ӣ | Й | К | Қ | Л | М | Н | О | П | Р | С | Т | У | Ӯ | Ф | Х | Ҳ | Ч | Ҷ | Ш | Ъ | Э | Ю | Я | |||||||||||||||||||||||||||||||||||||
로망스어군 | ||||||||||||||||||||||||||||||||||||||||||||||||||||||||||||||||||||||||
몰도바어 | А | Б | В | Г | Д | Е | Ж | Ӂ | З | И | Й | К | Л | М | Н | О | П | Р | С | Т | У | Ф | Х | Ц | Ч | Ш | Ы | Ь | Э | Ю | Я | |||||||||||||||||||||||||||||||||||||||||
우랄어족 | ||||||||||||||||||||||||||||||||||||||||||||||||||||||||||||||||||||||||
코미페르미악어 | А | Б | В | Г | Д | Е | Ё | Ж | З | И | І | Й | К | Л | М | Н | О | Ӧ | П | Р | С | Т | У | Ф | Х | Ц | Ч | Ш | Щ | Ъ | Ы | Ь | Э | Ю | Я | |||||||||||||||||||||||||||||||||||||
초원 마리어 | А | Б | В | Г | Д | Е | Ё | Ж | З | И | Й | К | Л | М | Н | Ҥ | О | Ӧ | П | Р | С | Т | У | Ӱ | Ф | Х | Ц | Ч | Ш | Щ | Ъ | Ы | Ь | Э | Ю | Я | ||||||||||||||||||||||||||||||||||||
산악 마리어 | А | Ӓ | Б | В | Г | Д | Е | Ё | Ж | З | И | Й | К | Л | М | Н | О | Ӧ | П | Р | С | Т | У | Ӱ | Ф | Х | Ц | Ч | Ш | Щ | Ъ | Ы | Ӹ | Ь | Э | Ю | Я | |||||||||||||||||||||||||||||||||||
킬딘 사미어 | А | Ӓ | Б | В | Г | Д | Е | Ё | Ж | З | И | Й | Ҋ | Ј | К | Л | Ӆ | М | Ӎ | Н | Ӊ | Ӈ | О | П | Р | Ҏ | С | Т | У | Ф | Х | Һ | Ц | Ч | Ш | Щ | Ъ | Ы | Ь | Ҍ | Э | Ӭ | Ю | Я | ||||||||||||||||||||||||||||
우드무르트어 | А | Б | В | Г | Д | Е | Ё | Ж | Ӝ | З | Ӟ | И | Ӥ | Й | К | (К̈) | Л | М | Н | О | Ӧ | П | Р | С | Т | У | Ф | Х | Ц | Ч | Ӵ | Ш | Щ | Ъ | Ы | Ь | Э | Ю | Я | |||||||||||||||||||||||||||||||||
튀르크어족 | ||||||||||||||||||||||||||||||||||||||||||||||||||||||||||||||||||||||||
아제르바이잔어 | А | Б | В | Г | Ғ | Д | Е | Ә | Ё | Ж | З | Ы | И | Ј | Й | К | Ҝ | Л | М | Н | О | Ө | П | Р | С | Т | У | Ү | Ф | Х | Һ | Ц | Ч | Ҹ | Ш | Щ | Ъ | Ы | Ь | Э | Ю | Я | ||||||||||||||||||||||||||||||
바시키르어 | А | Ә | Б | В | Г | Ғ | Д | Ҙ | Е | Ё | Ж | З | И | Й | К | Ҡ | Л | М | Н | Ң | О | Ө | П | Р | С | Ҫ | Т | У | Ү | Ф | Х | Һ | Ц | Ч | Ш | Щ | Ъ | Ы | Ь | Э | Ә | Ю | Я | |||||||||||||||||||||||||||||
추바시어 | А | Ӑ | Б | В | Г | Д | Е | Ё | Ӗ | Ж | З | И | Й | К | Л | М | Н | О | П | Р | С | Ҫ | Т | У | Ӳ | Ф | Х | Ц | Ч | Ш | Щ | Ъ | Ы | Ь | Э | Ю | Я | |||||||||||||||||||||||||||||||||||
카자흐어 | А | Ә | Б | В | Г | Ғ | Д | Е | Ё |
키릴 문자는 언어별로 글자와 그 수가 다르다. 러시아어는 33자, 세르비아어는 30자로 구성된다. 세르비아어와 마케도니아어에는 라틴 문자 J에 해당하는 문자가 추가되었다.[77]
5. 컴퓨터 인코딩
유니코드에서 키릴 문자 영역은 U+0400~U+052F까지이다. 이 영역에는 ISO 8859-5 인코딩의 글자들이 포함되어 있다. U+0460~U+0489까지는 역사적인 문자, U+048A~U+052F는 다른 언어를 위한 보충 문자들이다.[50]
유니코드에는 강세가 있는 키릴 문자가 없지만 U+0301 문자를 사용하여 강세를 나타낼 수 있다. (예: ы́ э́ ю́ я́).[50] 교회 슬라브어 같은 몇몇 언어는 아직까지 완전히 지원되지 않는다.
키릴 문자를 위한 문자 인코딩은 다음과 같다.
- 코드 페이지 866 – MS-DOS에서 사용하는 8비트 문자 인코딩
- ISO/IEC 8859-5 – ISO에서 제안한 인코딩
- KOI8-R – 8비트 러시아산 인코딩
- KOI8-U – KOI8-R과 같지만 우크라이나어 글자가 있는 인코딩
- MIK – 8비트 불가리아어 인코딩
- 코드 페이지 1251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의 키릴 문자 인코딩
U+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
---|---|---|---|---|---|---|---|---|---|---|---|---|---|---|---|---|---|---|
0400 | Ѐ | Ё | Ђ | Ѓ | Є | Ѕ | І | Ї | Ј | Љ | Њ | Ћ | Ќ | Ѝ | Ў | Џ | ||
0410 | А | Б | В | Г | Д | Е | Ж | З | И | Й | К | Л | М | Н | О | П | ||
0420 | Р | С | Т | У | Ф | Х | Ц | Ч | Ш | Щ | Ъ | Ы | Ь | Э | Ю | Я | ||
0430 | а | б | в | г | д | е | ж | з | и | й | к | л | м | н | о | п | ||
0440 | р | с | т | у | ф | х | ц | ч | ш | щ | ъ | ы | ь | э | ю | я | ||
0450 | ѐ | ё | ђ | ѓ | є | ѕ | і | ї | ј | љ | њ | ћ | ќ | ѝ | ў | џ | ||
0460 | Ѡ | ѡ | Ѣ | ѣ | Ѥ | ѥ | Ѧ | ѧ | Ѩ | ѩ | Ѫ | ѫ | Ѭ | ѭ | Ѯ | ѯ | ||
0470 | Ѱ | ѱ | Ѳ | ѳ | Ѵ | ѵ | Ѷ | ѷ | Ѹ | ѹ | Ѻ | ѻ | Ѽ | ѽ | Ѿ | ѿ | ||
0480 | Ҁ | ҁ | ҂ | Ҋ | ҋ | Ҍ | ҍ | Ҏ | ҏ | |||||||||
0490 | Ґ | ґ | Ғ | ғ | Ҕ | ҕ | Җ | җ | Ҙ | ҙ | Қ | қ | Ҝ | ҝ | Ҟ | ҟ | ||
04A0 | Ҡ | ҡ | Ң | ң | Ҥ | ҥ | Ҧ | ҧ | Ҩ | ҩ | Ҫ | ҫ | Ҭ | ҭ | Ү | ү | ||
04B0 | Ұ | ұ | Ҳ | ҳ | Ҵ | ҵ | Ҷ | ҷ | Ҹ | ҹ | Һ | һ | Ҽ | ҽ | Ҿ | ҿ | ||
04C0 | Ӏ | Ӂ | ӂ | Ӄ | ӄ | Ӆ | ӆ | Ӈ | ӈ | Ӊ | ӊ | Ӌ | ӌ | Ӎ | ӎ | ӏ | ||
04D0 | Ӑ | ӑ | Ӓ | ӓ | Ӕ | ӕ | Ӗ | ӗ | Ә | ә | Ӛ | ӛ | Ӝ | ӝ | Ӟ | ӟ | ||
04E0 | Ӡ | ӡ | Ӣ | ӣ | Ӥ | ӥ | Ӧ | ӧ | Ө | ө | Ӫ | ӫ | Ӭ | ӭ | Ӯ | ӯ | ||
04F0 | Ӱ | ӱ | Ӳ | ӳ | Ӵ | ӵ | Ӷ | ӷ | Ӹ | ӹ | Ӻ | ӻ | Ӽ | ӽ | Ӿ | ӿ | ||
0500 | Ԁ | ԁ | Ԃ | ԃ | Ԅ | ԅ | Ԇ | ԇ | Ԉ | ԉ | Ԋ | ԋ | Ԍ | ԍ | Ԏ | ԏ | ||
0510 | Ԑ | ԑ | Ԓ | ԓ | Ԕ | ԕ | Ԗ | ԗ | Ԙ | ԙ | Ԛ | ԛ | Ԝ | ԝ | Ԟ | ԟ | ||
0520 | Ԡ | ԡ | Ԣ | ԣ | Ԥ | ԥ | Ԧ | ԧ | Ԩ | ԩ | Ԫ | ԫ | Ԭ | ԭ | Ԯ | ԯ | ||
1C80 | ᲀ | ᲁ | ᲂ | ᲃ | ᲄ | ᲅ | ᲆ | ᲇ | ᲈ | |||||||||
1D20 | colspan="11" | | ᴫ | ||||||||||||||||
1D70 | colspan="8" | | ᵸ | colspan="7" | | |||||||||||||||
2DE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DF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640 | Ꙁ | ꙁ | Ꙃ | ꙃ | Ꙅ | ꙅ | Ꙇ | ꙇ | Ꙉ | ꙉ | Ꙋ | ꙋ | Ꙍ | ꙍ | Ꙏ | ꙏ | ||
A650 | Ꙑ | ꙑ | Ꙓ | ꙓ | Ꙕ | ꙕ | Ꙗ | ꙗ | Ꙙ | ꙙ | Ꙛ | ꙛ | Ꙝ | ꙝ | Ꙟ | ꙟ | ||
A660 | Ꙡ | ꙡ | Ꙣ | ꙣ | Ꙥ | ꙥ | Ꙧ | ꙧ | Ꙩ | ꙩ | Ꙫ | ꙫ | Ꙭ | ꙭ | ꙮ | ꙯ | ||
A670 | ꙳ | ꙴ | ꙵ | ꙶ | ꙷ | ꙸ | ꙹ | ꙺ | ꙻ | ꙼ | ꙽ | ꙾ | ꙿ | |||||
A680 | Ꚁ | ꚁ | Ꚃ | ꚃ | Ꚅ | ꚅ | Ꚇ | ꚇ | Ꚉ | ꚉ | Ꚋ | ꚋ | Ꚍ | ꚍ | Ꚏ | ꚏ | ||
A690 | Ꚑ | ꚑ | Ꚓ | ꚓ | Ꚕ | ꚕ | Ꚗ | ꚗ | Ꚙ | ꚙ | Ꚛ | ꚛ | ꚜ | ꚝ | ꚞ | ꚟ | ||
1E030 | 𞀰 | 𞀱 | 𞀲 | 𞀳 | 𞀴 | 𞀵 | 𞀶 | 𞀷 | 𞀸 | 𞀹 | 𞀺 | 𞀻 | 𞀼 | 𞀽 | 𞀾 | 𞀿 | ||
1E040 | 𞁀 | 𞁁 | 𞁂 | 𞁃 | 𞁄 | 𞁅 | 𞁆 | 𞁇 | 𞁈 | 𞁉 | 𞁊 | 𞁋 | 𞁌 | 𞁍 | 𞁎 | 𞁏 | ||
1E050 | 𞁐 | 𞁑 | 𞁒 | 𞁓 | 𞁔 | 𞁕 | 𞁖 | 𞁗 | 𞁘 | 𞁙 | 𞁚 | 𞁛 | 𞁜 | 𞁝 | 𞁞 | 𞁟 | ||
1E060 | 𞁠 | 𞁡 | 𞁢 | 𞁣 | 𞁤 | 𞁥 | 𞁦 | 𞁧 | 𞁨 | 𞁩 | 𞁪 | 𞁫 | 𞁬 | 𞁭 | colspan="2" | | |||
1E070 | ||||||||||||||||||
1E080 | colspan="15" | | 𞂏 |
6. 모양
키릴 문자의 자형(글자 모양)은 바로크 시대부터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콘에서 볼 수 있는 중세 키릴 문자는 매우 크고 좁은 경향을 보였으며, 글자끼리 합쳐 쓰는 경우가 많았다.
러시아의 표트르 1세는 서구의 글자꼴을 도입하도록 지시했고, 이는 널리 받아들여졌다. 그 결과 현대 키릴 문자 글꼴은 라틴 문자 글꼴과 매우 유사한 형태를 띠게 되었다. 키릴 문자의 대소문자는 라틴 문자만큼 엄격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а"와 "е"처럼 서구의 영향을 받은 일부를 제외하면, 소문자는 작은 대문자 형태인 경우가 많다. 일부 키릴 문자 글꼴은 스몰 캡스를 포함하고 있기도 하다.
6. 1. 활자체와 필기체
키릴 문자의 글꼴은 표트르 1세가 서구의 글자꼴을 도입한 이후 라틴 문자의 글꼴과 유사하게 발전해왔다. 키릴 문자는 활자체(로만체)와 필기체(이탤릭체)로 나뉘며, 필기체는 활자체와 모양이 매우 다르다.[78]
특히 러시아어 필기체는 초보자들이 혼동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다음 표는 러시아어 알파벳의 활자체와 필기체를 비교한 것이다.
아 | 베 | 베 | 게 | 데 | 예 | 요 | 제 | 제 | 이 | 이 짧은 | 카 | 엘 | 엠 | 엔 | 오 | 페 | 에르 | 에스 | 테 | 우 | 에프 | 하 | 체 | 체 | 샤 | 샤 | 경음부호 | 의 | 연음부호 | 애 | 유 | 야 |
---|---|---|---|---|---|---|---|---|---|---|---|---|---|---|---|---|---|---|---|---|---|---|---|---|---|---|---|---|---|---|---|---|
Аа | Бб | Вв | Гг | Дд | Ее | Ёё | Жж | Зз | Ии | Йй | Кк | Лл | Мм | Нн | Оо | Пп | Рр | Сс | Тт | Уу | Фф | Хх | Цц | Чч | Шш | Щщ | Ъъ | Ыы | Ьь | Ээ | Юю | Яя |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세르비아어에서는 필기체 글꼴이 활자체에도 종종 사용된다.[78]
- -
6. 2. 대문자와 소문자
키릴 문자의 대소문자는 라틴 문자만큼 엄격하게 구분되지 않으며, 소문자는 작은 대문자 형태인 경우가 많다. "а"와 "е" 같이 서구의 예를 받아들인 것을 제외하면 키릴 문자의 소문자는 작은 대문자였다. 그래서 현재에도 일부 키릴 문자 글꼴은 스몰 캡스를 포함하고 있다.[78]참조
[1]
서적
Handbook of Old Church Slavonic, Part II: Texts and Glossary
[2]
웹사이트
Gazetler | TDNG
https://metbugat.gov[...]
2021-03-28
[3]
웹사이트
Gazetler | TDNG
https://metbugat.gov[...]
2021-03-28
[4]
뉴스
Oldest alphabet found in Egypt
http://news.bbc.co.u[...]
BBC
1999-11-15
[5]
위키
List of countries by population
[6]
웹사이트
Cyrillic, the third official alphabet of the EU, was created by a truly multilingual European
http://europa.eu/rap[...]
European Union
2007-05-24
[7]
서적
Columbia Encyclopedia,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edia of World Cultures, The Oxford Encyclopedia of Archaeology in the Near East, Slavic Review, Crucial problems of Cyrillo-Methodian Studies, A Handbook of Slavic Studies, History of the ancient Serbian litera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Encyclopædia Britannica Incorporated, David H. Levinson, Oxford University Press, unspecified, Leonid Ivan Strakhovsky, V. Bogdanovich
[8]
서적
The Slavs: Their Early History and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9]
서적
Oxford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Alphabets of the Modern Slavic Languag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Pittsburgh
[11]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The First Three Thousand Years
The Folio Society
[12]
웹사이트
Провежда се международна конференция в гр. Опака за св. Антоний от Крепчанския манастир
https://dobrotoliubi[...]
2021-10-15
[13]
서적
The World's Writing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Columbia Encyclopedia,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edia of World Cultures, The Oxford Encyclopedia of Archaeology in the Near East, Slavic Review, Crucial problems of Cyrillo-Methodian Studies, A Handbook of Slavic Studies, History of the ancient Serbian litera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Encyclopædia Britannica Incorporated, David H. Levinson, Oxford University Press, unspecified, Leonid Ivan Strakhovsky, V. Bogdanovich
[15]
서적
The Columbia Encyclopaedia, Sixth Edition
[16]
서적
Encyclopædia Britannica
[17]
백과사전
Constantine the Philosopher
[18]
학술지
On the relationship of old Church Slavonic to the written language of early Rus
1987-01
[19]
서적
The Dawn of Slavic
Yale University Press
[20]
서적
Old Church Slavonic Grammar
https://archive.org/[...]
Mouton de Gruyter
[21]
서적
Old Church Slavonic (Old Bulgarian)-Middle Greek-Modern English dictionary
Verlag Bruder Hollinek
[22]
서적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An Introduction
[23]
서적
Die Kultur der Bosniaken, Supplement I: Inventar des bosnischen literarischen Erbes in orientalischen Sprachen
Adolf Holzhausens
[24]
서적
The Literature of the Bosnian Muslims: a Quadrilingual Heritage
Nadwah Ketakwaan Melalui Kreativiti
[25]
웹사이트
Srećko M. Džaja vs. Ivan Lovrenović – polemika o kulturnom identitetu BiH
http://ivanlovrenovi[...]
Polemics appeared between Srećko M. Džaja & Ivan Lovrenović in Zagreb's biweekly "Vijenac", later in whole published in Journal of Franciscan theology in Sarajevo, "Bosna franciscana" No.42
2014
[26]
학술지
Short history of the Cyrillic alphabet
http://www.ijors.net[...]
2013
[27]
서적
Language Culture Type: International Type Design in the Age of Unicode
Graphis Press
[28]
웹사이트
Bdinski Zbornik[manuscript]
https://lib.ugent.be[...]
2020-08-26
[29]
서적
Хрестоматия по Старославянскому Языку
[30]
서적
The Slavic Alphabets
[31]
기타
Variant form: S
[32]
기타
Variant form: Ꙋ
[33]
기타
Variant form: ЪИ
[34]
서적
Old Church Slavonic Grammar, Seventh Edition
[35]
서적
(Unspecified)
[36]
서적
Pravopis na makedonskiot jazik
http://www.pravopis.[...]
Institut za makedonski jazik Krste Misirkov
2017
[37]
서적
Pravopis srpskoga jezika
Matica Srpska
1994
[38]
웹사이트
Cyrillicsly: Two Cyrillics: a critical history I
https://cargocollect[...]
[39]
웹사이트
Cyrillic script variations and the importance of localisation - Fontshare.com
https://www.fontsmit[...]
2020-09-24
[40]
뉴스
Alphabet soup as Kazakh leader orders switch from Cyrillic to Latin letters
https://www.theguard[...]
2017-10-26
[41]
뉴스
Mongolia to restore traditional alphabet by 2025
https://news.mn/en/7[...]
2020-03-20
[42]
웹사이트
Alaskan Orthodox texts
https://web.archive.[...]
[43]
웹사이트
SHORT History of the Cyrillic ALPHABET
https://www.ijors.ne[...]
[44]
웹사이트
Komi language and alphabet
https://omniglot.com[...]
[45]
웹사이트
Serbian constitution
http://www.ustavni.s[...]
[46]
학술지
Serbian signs of the times are not in Cyrillic
http://www.csmonitor[...]
2008-05-29
[47]
논문
Language Standardisation and Language Variation in Multilingual Contexts
Multilingual Matters
2021-12-14
[48]
웹사이트
UNGEGN Working Group on Romanization Systems
http://www.eki.ee/wg[...]
[49]
웹사이트
Употребление буквы ''ё'' в текстах раз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http://orthographia.[...]
[50]
웹사이트
IOS Universal Multiple-Octet Coded Character Set
http://std.dkuug.dk/[...]
[51]
서적
キリル文字の誕生 スラヴ文化の礎を築いた人たち
上智大学出版
2014-03-10
[52]
서적
キリル文字の誕生 スラヴ文化の礎を築いた人たち
上智大学出版
2014-03-10
[53]
서적
ロシア・中欧・バルカン世界のことばと文化
成文堂
2010-06-10
[54]
서적
ロシア・中欧・バルカン世界のことばと文化
成文堂
2010-06-10
[55]
서적
キリル文字の誕生 スラヴ文化の礎を築いた人たち
上智大学出版
2014-03-10
[56]
서적
キリル文字の誕生 スラヴ文化の礎を築いた人たち
上智大学出版
2014-03-10
[57]
서적
ビジュアル版 世界の文字の歴史文化図鑑 ヒエログリフからマルチメディアまで
柊風舎
2012-04-15
[58]
서적
ロシア・中欧・バルカン世界のことばと文化
成文堂
2010-06-10
[59]
서적
ロシア・中欧・バルカン世界のことばと文化
成文堂
2010-06-10
[60]
서적
ビジュアル版 世界の文字の歴史文化図鑑 ヒエログリフからマルチメディアまで
柊風舎
2012-04-15
[61]
일반
[62]
일반
[63]
서적
バルカンを知るための66章
明石書店
2016-01-31
[64]
일반
[65]
서적
中央アジア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03-03-10
[66]
서적
図説 アジア文字入門
河出書房新社
2005-04-30
[67]
서적
世界の文字を楽しむ小事典
大修館書店
2011-11-15
[68]
서적
世界の文字を楽しむ小事典
大修館書店
2011-11-15
[69]
뉴스
カザフスタン/ローマ字移行 ロシアに背「欧米追従」一部に批判
日経産業新聞
2017-07-20
[70]
서적
世界の文字を楽しむ小事典
大修館書店
2011-11-15
[71]
뉴스
カザフスタンが表記文字を変更、ロシア文字からローマ字へ
https://www.reuters.[...]
2017-10-30
[72]
뉴스
ローマ字化、是か非か=旧ソ連のカザフで論議
https://headlines.ya[...]
時事通信
2017-06-21
[73]
뉴스
カザフスタン】 これからはカザフ語のみで貨幣発行へ
http://www.trt.net.t[...]
2019-02-24
[74]
서적
図説 世界の文字とことば
河出書房新社
2009-12-30
[75]
웹사이트
Mongolia abandons Soviet past by restoring alphabet | World | The Times
https://www.thetimes[...]
2020-06-22
[76]
서적
ロシア・中欧・バルカン世界のことばと文化
成文堂
2010-06-10
[77]
서적
世界の文字を楽しむ小事典
大修館書店
2011-11-15
[78]
웹사이트
Serbian Cyrillic Letters BE, GHE, DE, PE, TE
http://jankojs.trip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